2022년 4월 4일 월요일

불 법신 즉 우주적인 몸*영산불교 현지사

 불 법신 _즉 '우주적인 몸'


사실은 부처님의 법신이야말로 진불입니다. 거래도 없고
머묾도 없습니다. 법계를 비추는 대지의 광명체로서 초월이요 평
등입니다. 초월적 인격적 실존이신 보신의 근본이 되어 이미 인
격이 아닙니다. 대우주아입니다.

전생에 이미 불과를 이룬 붓다가 이 사바세계에 사람 몸을 받아
오실 경우가 있습니다. 그 몸을 응화신이라 합니다. 붓다는 원력
수생하기 때문에 주로 왕궁으로 몸을 받아 나십니다.

이때에도 자기의 불신은 거기에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한번 얻
은 불신은 그 생명이 영원합니다. 보신은 유시무종합니다.

붓다세계에 계신 불신이 보신입니다. 보신은 무아 속 절대계
에 자기의 법신을 둡니다. 그래서 법신은 보신과 화신의 근본체입
니다. 삼차원 세계에 사는 우리들의 의식구조로서는 이해하기가
다소 어려울 지도 모르겠습니다.

몇 마디 더 부연해서 해설해 보겠습니다.

아미타불은 지금 서방극락세계의 교주이시며, 서방극락세계에
왕생한 보살들을 붓다 될 수 있도록 교화하고 계십니다. 아미타불
의 불신을 <보성론>의 개념으로 보면 보신이라는 것으로, 원만보
신입니다. 색상이 단엄한 32상 80종호를 구족 하시고 광휘가
현란합니다.

그런데 그 부처님은 10겁 전이 아니고 실로 무량겁 전에 불과를
이루신 오여래 부처님 가운데 한 분이십니다. 당신의 법신을
무아 속 절대계에 두고 계십니다.

관세음보살은 무량겁 전에 불과를 이루셨고 붓다 이름이 '정법
명왕' 입니다. 무아 속 절대계에 법신을 두시고 원만보신을 나투어
극락세계에서 아미타부처님의 좌보처로 계십니다.
관세음보살이 남섬부주 중생을 교화하시려 변화신으로 오실 때
는 자모의 모습이십니다. 머리엔 아미타불을 정대한 화관을
쓰시고, 목엔 영락을 두르시고 하얀 실크드레스 같은 옷에 가끔은
버들가지를 드신 백의관음의 모습이십니다. 남선부주에 와서 불
과를 이룬 붓다의 대법회에 가끔 현신하셔서 천수천안1천의 화신을
나투실 때도 종종 있으며 이때에는 백종오색광명을 놓아 축복해
주십니다. 32응신을 나투시어 불법과 인연 있는 불자들을 교화해
서방극락정토로 인도하시기도 합니다.

관세음보살의 좌우보처는 해상용왕과 남순동자가 아닙니다. 큰
부처님이시기에 불격을 갖추신 상수보살인 해수관음과 육관음이
좌우 보처가 됩니다. 해수관음은 여인상이지만, 육관음은 때에 따
라 여섯 몸으로 나투시는 남자상입니다.

불정심 관세음보살 모다라니 진언은 해수관음 진언이며, 육관음
진언은 "옴 마하 가로니가 사바하"로서 부사의한 힘이 있음을 전
합니다.

따라서 관세음보살은 지금 불가에서 일반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일생보처 보살이 아니라 이미 붓다를 이른 부처님
으로 바로 잡습니다.



출처/21세기 붓다의 메시지
펴낸곳/현지궁 현지사





무량광을 보다

조사선을 공부하는 이는 의단이 자리 잡아 화두타파하는
순간 경계가 확 뒤집히는 과정을 체험하게 됩니다.

이때 드러나는 것은 자성광명뿐, 내 앞의 모든 게 공이
되어 나도 없고 나라는 생각까지도 사라집니다. 아공, 법공,
구공입니다. 생각 이전의 본래 면목, 진여자성입니다. 태양
광과 달라서 여여하면서도 신령스런 빛이요, 공정 영지
입니다. 법계를 비추는, 이 세상에는 존재하지 않는 '정화된 마
음의 빛' 입니다.

여기가 견성경계입니다. 이후에 보림을 마치면 아라한의 반
열에 듭니다.

이제 보살의 경지부처는 타력, 곧 부처님의 절대하신 가피력
이 없이 자력만으로는 결코 오를 수 없는 경지라는 것을 선언
합니다!

<<열반경>> (여래성품)의 '대열반광명이 중생의 털구명으로 들어
가는 자는 반드시 불도를 이루리라'는 말씀대로, 수행인이 공부하
는 중에 선정에 들어 빨강가사, 장삼을 수하신 문수 보현보살 그
리고 관음 세지보살께서 방사하시는 부처님의 광명대열반광명
을 온몸의 털구명 속으로 받아들이는 경계를 종종 만나면 보살의
위에든 것으로 봅니다.

부처님의 광명으로 씻겨진, 보살영체의 빛은 자성광명과는 차원
이 다릅니다. 자성광명이 보름달의 하얀 은백색이라면 보살의 빛
은 아침에 떠오르는 햇살 정도이니 비교할 수조차 없습니다.

그래서 보살의 마음은 그지 없이 청정합니다. 상품의 보살이
붓다의 경계에 들 때에는 무량광이라는 수백 수천의 태양
을 합한 것 이상의 광도를 띤 빛덩어리를 보게 됩니다.

무량광은 부처님의 본원엑기스광 입니다. 경계에 오염되지
않고, 영원히 손상되지 않습니다. 내외명철이 특징입니다.

안팎이 수정처럼 드러나 영롱하기 그지없습니다. 백종오색광
이요, 억종광입니다. 햇빛에 반짝이는 금강석의 빛과 같습니다.

무량광이라는 빛덩어리는 붓다만이 볼 수 있기 때문에 불의
경계입니다. 붓다 되는 관문이 바로 무량광입니다. 보살에서 붓다
로 뛰어 오르는 유일한 관문입니다. 이것은 부처님의 말씀입니다.

따라서 공을 깨친 후 무량광을 보기 이전에 불 보살이 있다
없다 말하는 것은 한낱 범부가 지껄이는 망언일 뿐입니다. 무량광
은 불과를 등하는 관문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분명히 만고에 공부인의 발길이 닿지 않은 처녀림
이지만, 이 경계를 발견한 수행자는 2500년전 부처님 이후
오직 수보리 사리불 존자뿐입니다.

부처님께서 스스로 깨달은 법이 매우 깊고 미묘해 알기 어렵
고 들어가기 어렵다 생각하셔서 전도를 포기하려 하셨지만, 범
천의 강력한 권청에 따라 법을 설하기 시작하셨던 것처럼, 나
는 이땅에 부처님의 정법을 세우기 위하여 그동안 부처님들을 친
견하고 들은 여러 소식을 조심스레 전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무량광의 경계를 지나면 드디어 부처님을 친견할 수 있습니다.
중생과 성중아라한이나 보살은 절대로 불신이나 부처님을 뵐 수 없
습니다. 왜냐하면 부처님의 온몸이 천문학적인 광도를 띈 무량광으로
이루어젺기 때문입니다.

불과를 증한 대성자는 이런 엄청난 빛으로 이루어진 자기의
불신을 무아 속의 절대계, 곧 상적광토인 부처님 나라에 둡
니다. 그분의 불신이 있다는 것은 곧 그분이 불과를 증했다는 의미
입니다.

불신을 교가에서는 원만보신 또는 보신 이라고 하거나
지복의 몸 이라고도 합니다. 여기서 나는 불신을 종래의 법신
개념에서 벗어나 보신 개념으로 과감히 대치하고자 합니다.

'이 마음이 곧 부처' 라는 가르침이 보편화되어 있는 오늘날의
불교계에서 부처님들이 '무아 속 절대세계에 빛으로 계신다'는
이 법설은 일대 지각변동을 일으킬 수소폭탄과도 같을 것입니다.

이 엄청난 발견으로 수없이 왜곡된 부처님의 가르침들이 재조명
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부처님들은 모두 무량광으로 이뤄진 몸을 지니셔서 무량수가
되므로, 삼세의 여래가 똑 같습니다. 무량광으로 이루어진 불신에서
백천만 억의 화신이 현현하는 것입니다.

인간은 거짓몸뚱이와 그 안에 불성이라는 보물창고를 가지고 있
습니다.
하이데거는 그의 존재와 시간 이라는 저술에서, '인간존재' 를
존재해명의 실마리로 삼았습니다. 만물의 영장인 인간만이
인간존재 안에서 본각심체의 진상을 구명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분이야말로 진여 곧 존재를 깨우친 몇 안 되는 철학자 가
운데 한 분입니다. 자성광을 보왔으나, 열반광이나 무량광을
알지 못한 것은 못내 안타까운 일입니다.

무량광으로 이루어진 불신에서 법보화삼신, 부처님의
8만4천 신통, 백천 삼매, 지혜와 자비, 복덕이 우러나옵니다. 바로
무량광이 지혜 자비 복덕 삼매 신통능력 자체인 불가사의한 빛덩
어리기 때문입니다.

무량광을 꿈에도 모르는 무당이나 공부수행인이 부처님을 뵙고
부처님과 대화한다고 말한다면, 하늘 마에 속아 그리 말하고 있는
것에 불과합니다. 하늘 마가 얼마든지 불 보살님의 모습으로나투어
현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무량광명만은 절대로 방광할 수 없습니다. 아무리 빛을
거둬들이고 난 이후에 현신한 부처님이라도 두광, 배광, 신광의
광휘가 나타나기 때문에 변화술에 능한 천마라도 그 것만은
흉내조차 낼 수 없는 것입니다. 안팎이 드러나는 억종광명
백종오색광명 그리고 눈과 몸에서 방사하는 자비 선정의 빛도
만들어 낼 수가 없습니다.

내 가진 것 일체를

다 버렸더니

일체를 소유했더라

하나가 여럿 되고

여럿이 하나 되어

하나까지도 없는 것

무아 속 절대세계는

청정하고 깨끗하고

영롱한 빛무량광명 뿐~

출처 /21세기 붓다의 메시지
펴낸곳/현지궁 현지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